<!--StartFragment-->
1. 고지대나 고층건물에 살고 있을 때
하나. 창문을 잠그고 유리창이 파손되지 않도록 젖은 신문지나 테이프를 창문에 붙이고 창문 가까이에 가지 않습니다.
둘. 커튼을 치고 창문에서 최대한 떨어져서 기다립니다.
셋. TV나 라디오, 냉장고 등을 제외한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뽑고 가스밸브를 잠급니다.
라디오나 티비 인터넷을 통해서 기상예보를 잘
알아둡니다.
? <o:p></o:p>
2. 저지대나 지하에 살고 있을 때
하나. 태풍이나 폭우가 예상되면 고지대나 고층 건물로 중요한 물건을 옮깁니다.
둘. 물건을 옮길 시간이나 장소가 없으면 전기 차단기를 내리고 모든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뽑고 가스 밸브를 잠급니다.
셋. 고립이 예상될 경우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o:p></o:p>
3. 야외에 있을 때
하나. 공사장 근처나 물에 잠긴 도로로 지나가지 않습니다.
가로등이나 신호등 고압전선 근처에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둘. 도로변 간판이나 유리창 등이 떨어질 수 있는 곳을 지날 때는 머리를 보호합니다.
셋. 계곡에서 폭우를 만나 계곡물이 불어날 때는 지체하지 않고
높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 <o:p></o:p>
4. 위험해요!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전기가 나갔더라도 직접 전기수리를 하지 않습니다.
공사장 근처나, 물에 잠긴 도로로 지나가지 않습니다.
떠내려가는 물건을 잡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 <o:p></o:p>
5. 중요해요!
침수된 후의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를 시키고, 전기, 가스, 수도시설은 직접 손대지 않고 전문업체를 불러 수리합니다.
감전위험이 있으니 바닥에 떨어진 전선 근처에는 가지 않습니다.
파손된 곳은 사진을 찍어둡니다.
? <o:p></o:p>
6. 준비해요!
하수구와 집 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합니다.
상습 침수지역이나 산사태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사전에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알아둡니다.
지하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손전등이나 식수, 응급 약품등을 미리 준비합니다.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은 안전한 장소나 높은곳으로 옮깁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미디어_영상뉴스의 이전글과 다음글을 보여주는 설명하는 표입니다.
이전 |
|
다음 |
|